대손충당금 쌓아 리스크 관리 만전
[녹색경제신문 = 박금재 기자] 기업금융 시장이 4대 은행의 새로운 격전지로 부상했다. 가계대출 부문에서 규제와 인터넷은행의 강세가 맞물리자 기업대출을 마지막 승부수로 띄운 것이다. 다만 기업대출 시장에서 부실 경고음이 울리고 있어 연체율 관리가 절실해졌단 목소리가 나온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의 5월 말 기준 기업여신 잔액은 664조2220억원으로 작년 12월 말과 비교해 32조9373억원이 늘었다.
기업대출 가운데 우량대출로 분류되는 대기업대출 잔액이 특히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말 116조9593억원이었던 4대 시중은행의 대기업대출 잔액은 올해 말 132조9534억원으로 16조원 가량 늘었다. 5개월만에 잔액이 13.7% 증가한 것이다.
4대 은행들은 공격적으로 기업대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먼저 국민은행은 영업점과 본부 등에서 저금리로 기업대출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리우대프로그램을 지난 1분기부터 운영하고 4월부터는 본부 특별 금리 운용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우량기업고객의 이탈 방지를 위해서는 '본부 특별 금리 운용 프로그램'에 2분기까지 14조원(대출금액 기준)이 배정됐다. 영업점에 금리 자율성을 부여하는 '금리우대프로그램'은 2분기까지 2조2000억원이 배정됐다.
하나은행은 법인 특반 '하나중견기업 밸류업대출'을 5조원 한도로 시행한다. 의사나 변호사 등 연체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문직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특판 '전문직 내사업장 마련 더블업 대출'을 3000억원 한도로 내기도 했다.
문제는 4대 은행들이 일제히 기업대출에 집중하면서 노마진 경쟁까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대출 서비스는 사실상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서는 금리를 낮추는 방법 외에는 경쟁력을 높이기 어렵다.
더불어 은행 기업대출 시장에서 부실에 대한 우려감도 높아지고 있다. 경기둔화 속 고금리 상황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연체율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은행 기업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4%로, 전월 대비 0.06%포인트(p) 상승했다.
다만 은행권은 대손충당금을 부실채권 이상으로 쌓은 만큼, 리스크 관리 측면에선 문제가 없다고 바라본다. 3월 말 기준 은행권 전체 대손충당금 잔액은 27조2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부실채권(10조7000억원)의 두 배를 웃돈다.
은행권 관계자는 "연체율 증가는 경기가 좋지 않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충당금이 충분히 적립돼 있어 문제가 없다"면서 "부실 채권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관리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금재 기자 financial@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