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부품 일체화 설계로 워셔액 외부 비산 차단 및 사용량 최적화 가능
-상용화될 시 향후 레벨 4 이상 완전 자율주행 기술 구현에 활용될 것
현대차·기아가 카메라 센서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공개해 관련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6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은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의 회전과 소형 와이퍼를 결합해 외부오염을 제거하는 기술로 확인됐다.
현재 현대차·기아는 ‘로테이터캠’의 면밀한 검증을 위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시나리오를 가정해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로테이터캠’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을 완료했고, 내구성 및 성능 테스트를 거친 뒤 양산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센서 클리닝 기술은 자율주행 기술을 앞당기기 위한 핵심 요소”라면서, “앞으로도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다양한 편의기술 개발을 위해 전 부문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율주행 시대를 앞두고 최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센서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아무리 고도화된 기술이 탑재되더라도 센서에 묻은 이물질 하나가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센서 클리닝 기술은 자율주행 기능을 정교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지금까지는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과 ‘전동 와이퍼 블레이드 방식’은 우천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다거나 와이퍼가 시야를 가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현대차·기아가 개발한 ‘로테이터캠’은 먼지와 진흙은 물론 물방울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은 팝업 방식의 노즐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우천시에는 잔존 워셔액이나 누적된 빗방울이 렌즈 표면에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전동식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용해 오염을 물리적으로 닦아내는 방식은 우천시 물방울을 제거하는 성능은 우수하지만, 이 역시 와이퍼가 카메라 센서의 시야를 가릴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현대차·기아는 ‘로테이터캠’을 개발하면서 카메라 렌즈 덮개인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주목했다. 센서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는 구조적 이점 때문이다.
실제로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테스트 주행 영상을 보면, 많은 비가 오는 가운데 카메라 렌즈에 맺혀 있던 수많은 빗방울이 ‘로테이터캠’ 작동과 동시에 대부분 닦여 나가 깨끗한 시야가 확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레벨 4 이상의 완전 자율주행에 요구되는 센싱 고도화 기술을 뒷받침함으로써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노즐 부품 기반의 클리닝 기술을 대체할 전망이다.
박시하 기자 lycao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