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사무직 노조 생기자, 현대차도 사무직 노조 설립 움직임...'사무직의 반란' 확산
상태바
LG전자 사무직 노조 생기자, 현대차도 사무직 노조 설립 움직임...'사무직의 반란' 확산
  • 김국헌 기자
  • 승인 2021.03.30 16: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차그룹 직원들이 만든 오픈채팅방 30일 3500명 넘게 모여...사무직 노조설립 목적
정재훈 사장 이메일로 "성과급 지급기준 마련하겠다" 진화나섰지만 임시집행부 설립 추진
LG전자 사무직 노조 설립으로 인한 나비효과...재계 확산될까 주목

재계에 사무직 노조의 '반란'이 이어지고 있다. LG전자에 사무직 노조가 설립되자 현대차그룹에서 사무직 노조를 설립하려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생산직보다 상대적으로 소홀한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대기업 사무직 직원들이 많아 재계에 이같은 시도가 확산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MZ세대로 구성된 젊은 사무직 직원들을 중심으로 생산직 위주의 노조에 실망하고 자체적인 노조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재계에 확산되고 있다"며 "사무직 노조를 실제 만들기란 쉬운 일이 아니지만 LG전자 직원들이 사무직 노조 설립에 성공하면서 용기를 줬다"고 말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직원들은 지난 19일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개설했다. 목적은 사무직 노조 설립이다. 채팅방에는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현대오트론·현대로템·현대위아·현대트랜시스 등에서 30일 현재 3500명이 넘는 인원이 모였다.

이들은 지난해 임금단체협상에서 사무직과 연구직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고, 생산직을 중심으로 한 노조가 성과급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강성노조 현대차 노조 잠잠해지자, 이제는 사무직 노조

‘강성 노조’의 대표로 꼽히는 현대차 노조는 최근 달라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앞장서 품질 개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치열한 글로벌 생존 경쟁에 힘을 보태야 한다며 고용 보장을 전제로 임금 인상 자제 방안까지 내놓을 정도다. 

노조가 수그러들자 이제는 MZ세대로 구성된 사무직 직원들의 불만이 거세진 상황이다. 지난해 현대차 노사는 기본급을 동결하고, 기본급의 150%에 격려금 120만 원으로 평균 성과금을 산정했다.

호봉이 높은 생산직 노동자보다 대다수 사무·연구직 저연차 직원들은 성과금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 실제 현대차의 2020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1인 평균 급여액은 8800만 원으로 2019년 9600만 원 대비 800만 원 줄었다.

이에 현대차는 급히 직원들 달래기에 나섰다. 정재훈 사장은 29일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성과·보상에 대한 직원 여러분들의 실망감과 아쉬움을 진심으로 공감한다"며 "성과금 지급 기준을 만들고 지급시기도 최대한 앞당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임시 집행부를 구성하자는 의견이 오픈 채팅방에서 오가는 등 사무직 노조설립 움직임이 현실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LG전자 사무직 노조가 현대차에 영향 줬다는 분석

현대차의 사무직 노조 설립에 용기를 준 것은 업종이 다르지만 LG전자 노조 때문이다. 현대차 오픈채팅방과 블라인드 게시판에서는 "LG전자도 사무직 노조를 만드는데 우리라고 만들지 못할 법이 없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LG전자 사무직 노조는 지난 3월 초 설립됐으며 현재 가입자 수는 2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LG전자에 사무직 노조가 생긴 것은 한국노총을 중심으로 한 생산직 노조가 사실상 어용노조여서 직원들 처우개선을 등한시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4년차 사무직 직원인 유준환 씨가 비대면으로 노조를 설립했다. 

LG전자 직원 수는 약 4만명으로 추정되는데 이 중 3/4이 사무직이어서 향후 사무직 노조 가입자 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세를 빠르게 늘려가고 있는 사무직 노조의 목표는 5000명 이상의 노조원을 확보해 단체교섭권을 확보하는 것이다. 

LG전자의 사무직 노조 설립은 현대차 사무직 직원들을 자극시켰다. 생산직을 중심으로 한 노조에 모든 것을 맡기지 말고 자체적으로 사무직 노조를 설립해 사무직과 연구직 처우 개선을 위한 집단행동에 나서자는 것이다. 

이러한 사무직 노조 설립 움직임이 재계에 확산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노조의 추가적인 증가는 임단협 횟수 증가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고, 여러 집단의 이익을 모두 충족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역시 힘들다는 점에서 회사 경영진들이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김국헌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