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경영] "국내기업 ESG서 환경 분야 기후변화 대응이 가장 중요.... ESG 우수기업으로는 SK‧삼성전자‧LG화학"
상태바
[ESG경영] "국내기업 ESG서 환경 분야 기후변화 대응이 가장 중요.... ESG 우수기업으로는 SK‧삼성전자‧LG화학"
  • 윤영식 기자
  • 승인 2021.02.25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15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대상 국내 산업 영향 의견조사
글로벌 ESG 중요성 확산에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자동차 "밝음"ㆍ석유․석화․철강 "타격"
[자료-전경련]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기업 경영․투자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재계에 확산되고 있는 ESG 경영 패러다임에서 환경 분야 대응이 중요하며 특히 기후변화‧탄소배출에 대한 대응이 가장 필요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증권사 관계자들이 ESG 경영 확산으로 석유제품‧석유화학‧철강산업에는 타격이 큰 반면 반도체‧이차전지 산업은 전망이 밝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5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을 대상으로 글로벌 ESG 확산 추세에 따른 국내 산업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글로벌 시장에서 ESG 중요도 측면에서는 환경(Environment)이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60.0%를 차지, 가장 높았다.

사회(Social)와 거버넌스(Governance)가 중요하다는 의견은 각각 26.7%와 13.3%였다.

평가지표와 관련해서는 기후변화/탄소배출(26.7%)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이어 지배구조(17.8%), 인적자원관리(13.3%), 기업행동(11.1%), 청정기술/재생에너지(11.1%) 순으로 답했다.

코로나19 이후 확산되고 있는 글로벌 친환경 트렌드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리서치센터장들은 글로벌 ESG 확산에 따른 국내 15대 주력 수출산업의 명암에 대해서도 의견이 비교적 일치했다.

글로벌 투자유치와 수출에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으로는 석유제품(28.9%)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석유화학(26.7%)과 철강(26.7%)이 뒤를 이었다.

반면 ESG 확산으로 전망이 가장 밝은 산업에 대해서는 반도체(28.9%)를 들었다. 이어 이차전지(26.7%), 자동차(11.1%), 바이오(11.1%) 순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의 경우 ESG 확산으로 인한 타격 전망과 긍정적 전망이 동시에 제시됐다. 이는 현재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를 공동 생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전경련은 분석했다.

[자료-전경련]

국내기업의 ESG 대응 수준에 대해 리서치센터장들은 선진국을 10점 기준으로 할 때 대기업이 7점, 중견기업이 5점, 중소기업이 4점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더욱 중요성이 커질 ESG 경영에 있어 중소기업의 역량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ESG 대응을 잘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해외기업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테슬라와 애플, 파타고니아(아웃도어의류) 순이었다.

국내기업 중에서는 SK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LG화학, 삼성전자, KB금융 등이 꼽혔다.

해외의 경우 ESG 우수기업 중 IT․테크기업의 비중이 높은 반면, 국내의 경우 철강, 정유를 비롯해 제조업, 금융업 등 다양한 산업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이 기업의 ESG 평가에 가장 많이 참조하는 기관으로는 모건스탠리(MSCI)가 40.0%로 가장 많았다.

그밖에 블룸버그(ESG Data) 15.0%, 톰슨로이터스․서스테널리틱스․한국기업지배구조원 등이 각각 10.0%였다.

[자료-전경련]

국내기업이 글로벌 ESG 확산 추세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개선과제로 ‘평가기준 일관성 확보 및 투명한 평가체계 수립’(40.0%)을 꼽았다.

이밖에도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33.3%) 및 ‘글로벌 스탠다드에 준하는 한국형 ESG 평가지표 개발’(26.7%)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경영환경이 불확실해지면서 기업의 재무적 성과 외에도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의 비재무적 성과에도 시장은 크게 반응하면서 글로벌 ESG 기조가 확산되고 있다”면서, “이러한 기조는 글로벌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은 물론, 이제 내수 기업의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환경(E)의 중요성이 큰 반면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사회(노동)(S)과 지배구조(G)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어 국내 기업은 안팎으로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면서, “ESG 대응에 있어 국내외를 나눌 필요가 없는 만큼,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일관되고 투명한 평가체계의 확립이 중요하며,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잘하는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윤영식 기자  go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