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권에는 NPL 감축 계획 제출 요구... 부실 PF 사업장 정리 더디다고 본 듯
신협·저축은행권, 건전성 위기 지속돼... 연체율·NPL 비율 '적신호'
[녹색경제신문 = 이준성 기자] 금융당국이 신협과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 '건전성을 적극 관리하라는' 취지의 경고장을 연달아 보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담 탓에 이들 2금융권의 건전성 위기가 계속되자 한층 강한 행동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4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금융감독원은 신협중앙회에 "부동산·건설 편중 리스크를 강화하라"는 내용의 '경영유의사항'을 전달했다. 경영유의사항은 금융회사에 자율적 개선을 요구하는 행정지도 성격의 조치로 금융기관은 조치를 받은 후 6개월 이내에 그 결과를 금감원에 보고해야 한다.
이번 조치는 지난 6월 실시한 수시검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당시 금감원은 신협의 PF 관련 부실 대출을 위주로 검사를 진행했다.
금감원은 이번 조치에서 신협 단위 조합에 대한 중앙회 차원의 대출 한도 관리가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대출 관리 방식으로는 신협이 이달 29일부터 시행 예정인 '부동산·건설업 대출 한도' 규정을 지키지 못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설명이다.
해당 규정에 따르면 상호금융 조합의 부동산·건설업 관련 대출은 조합 대출 총액의 30%를 넘길 수 없다. 아울러 상호금융 조합은 부동산·건설업 관련 대출의 합계가 조합 대출 총액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한도를 준수해야 한다. 앞서 금감원은 신협중앙회에 건설·부동산업 대출 한도를 초과한 조합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계획을 마련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하지만 신협중앙회는 조합의 대출 한도 관리를 위해서 '감축계획서' 제출만 요구했을 뿐 한도 준수를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은 마련하지 않았다. 이에 금감원은 경영유의사항을 통해 "부동산·건설업 대출 한도를 초과한 조합에 대해 여신업무 관련 전산 통제 등을 실시하고, 부실화한 채권 매각 등의 구체적인 한도초과 해소 계획을 수립하게 하라"고 신협중앙회에 촉구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감원의 이번 조치와 관련해 "신협의 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오자 금융당국도 여러가지 조치를 동원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협의 자산규모는 농협과 새마을금고에 이어 상호금융권에서 세 번째로 크다"며 "체급이 결코 작지 않은 만큼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신협의 건전성 리스크를 주의 깊게 지켜볼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신협의 건전성은 올 들어 빠르게 악화 중이다. 신협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3.63%에서 올 상반기 말 6.25%까지 치솟았으며, 이는 부동산 PF 확장으로 건설업 및 부동산업 연체율이 급증한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 3월말 기준 신협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10.23%로 지난해 말 대비 4.21%p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부동산업 연체율은 8.55%로 3.22%p 상승했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최근 저축은행권에 고정이하여신(NPL) 감축 계획을 제출하라고도 요구했다. 지난달 초 PF 사업장 정리가 더딘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를 소집해 NPL 관리를 주문한 데 이어 다시 한번 '압박'을 가한 셈이다.
금감원은 부동산 PF 사업성 재평가에 따라 저축은행권의 NPL 비율이 추가로 오를 수 있다는 우려에 감축 계획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당국은 지난 6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강화하면서 기존 평가 등급을 3단계에서 4단계로 세분화했는데, 평가 결과 유의(C)·부실 우려(D) 등급은 재구조화 및 자율 매각, 사업장 상각이나 경·공매를 통한 매각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저축은행권의 부실 PF 사업장 정리는 부동산 경기 침체 탓에 지지부진한 양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저축은행 경·공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이 경·공매를 통해 정리한 사업장은 지난 10월 말 기준 총 40건으로 3292억원 규모다. 사업성 평가에서 정리 대상으로 분류된 사업장이 총 198건에 2조1200억원 규모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체 건수의 20%, 규모로는 15% 정도만이 정리됐다는 뜻이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에서 저축은행권의 건전성 역시 신협과 마찬가지로 흔들리고 있다는 점이다. 올 3분기 전체 저축은행(79곳)의 NPL 비율은 11.16%로 직전 분기 대비 0.37%p 낮아졌지만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이상을 기록 중이다. NPL 비율이 20%를 넘어선 곳 또한 솔브레인(36.9%), 안국(24.8%), 대아(22.6%), 상상인(22.2%) 등 4곳에 달한다.
여기에, 올 3분기 말 연체율도 8.73%로 직전 분기 대비 0.37%p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이 10% 이상인 곳은 지난해 3분기 14곳에서 올 3분기 36곳으로 약 2.6배가 늘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권이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나서고는 있지만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라며 "부실 사업장 경공매와 재구조화 등을 집중 추진함으로써 건전성을 더욱 바짝 조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뜻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준성 기자 financial@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