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웨이도 앞서 주파수 집성기술 활용해 세계 최초 3Gbps 이상 속도로 4.9GHz 대역에서 5G 서비스 개발
- 단순한 기술력 발표…이통사 거쳐 실제 서비스 되기 위해서는 거쳐야 할 과제 많아
최근 5G 서비스에서 '최고 속도'라는 타이틀을 거머쥐기 위한 관련 업체들의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더 쾌적하고 빠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이 나오지만, 해당 기술이 이통사를 통해 실제 서비스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 할 과제들이 많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과 화웨이 등 전자·통신 업체들은 각 사의 혁신적인 5G 기술 개발을 앞세워 초고속 통신 분야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드러내고 있다.
삼성전자 최근 발표한 기술은 28GHz 대역의 5G 기지국과 1.9·2.1GHz 대역의 4G LTE 기지국을 동시에 활용하는 이중 통신(Dual Connectivity) 기술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5.23Gbps의 속도는 4GB 용량의 FHD 영화 한 편을 약 6초만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는 기존 이통3사가 서비스 중인 5G의 다운로드 속도와 비교해도 7배 이상 빠르다. 과기정보통신부가 지난해 하반기에 발표한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에 따르면 이통3사의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90.47Mbps에 해당한다.
삼성전자 측은 해당 기술의 의의에 대해 "기존 전국에 구축된 4G 기지국에 5G 초고주파 대역 기지국을 추가 설치하면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초고속 통신서비스가 가능함을 재확인한 것"이라며 "이통사는 데이터 통신이 집중되는 강남역이나 스포츠 경기장 등에 5G 초고주파 대역 기지국을 설치해 효율적으로 초고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삼성전자의 이중 통신 기술은 검증을 완료한 단계일 뿐, 많은 국민들이 이중 통신 기술을 통해 더 빠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지는 아직 미지수의 영역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다.
현재 이통사가 구축하고 있는 28GHz 대역망은 일반 소비자가 아닌 B2B(기업 대 기업)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28GHz 대역은 일반 소비자용 5G 서비스 대역인 3.5GHz에 비해 커버리지가 좁고 전파 도달거리가 짧아 설비 투자 비용이 많이 들며, 이에 이통사들은 28GHz 기지국 구축에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성중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1월 31일 기준 이통3사에서 무선국 운용이 가능한 준공신고 단계의 28GHz 기지국은 45대에 불과하다. 사실상 이중 통신을 활용할 공간이 많지 않은 것이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기술력이 공개되는 것과 실제 상용화 서비스로 이어지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며 "28GHz를 소비자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28GHz 지원 안테나를 보급해야 하고, 전파 직진성이 강해 건물이 많은 지역에서 원활히 통신이 되지 않는 28GHz의 특성을 해결해야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고 설명했다.
앞서 화웨이는 지난 3일 세계 최초 3Gbps 이상의 속도로 4.9GHz 대역에서 5G 서비스를 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화웨이는 2.6GHz 대역과 4.9GHz 대역을 연동할 수 있는 주파수 집성기술(CA)을 활용했다. 또한 다수의 안테나를 결합한 '다중입출력장치'를 구현해 데이터 트래픽이 몰리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 화웨이 박성호 상무는 “실내 5G 품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아쉬움이 여전히 크고 국내 이통사들은 실내 5G 커버리지 및 품질 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화웨이의 솔루션을 통해 다중이용시설 및 주거지역에서의 일반 소비자용뿐 아니라 제조, 의료, 교육 등 산업용 응용 서비스에서도 5G 체감 품질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다만 화웨이의 기술도 중국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에서 4.9GHz 주파수 대역으로 시연에 성공한 만큼, 주파수 대역이 다른 국내에 도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5G 서비스에서 속도가 중요하긴 하나 각 사의 발표는 기술력을 통한 서비스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라며 "실제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제조 장비사와 이통사간의 여러 협의가 필요하며, 시간을 더 두고 지켜봐야 할 일"이라고 전했다.
장경윤 기자 lycao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