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으로 녹색금융 기반 확대될 전망
금융감독원이 올해 녹색여신 관리지침을 제정해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친환경’ 기준이 기업부문 여신에도 적용될 전망이다.
'2024년도 금융감독원 업무계획’에 따르면 금감원의 올해 4대 추진전략과 12대 핵심과제 중 이른바 ‘녹색금융’이 눈에 띈다.
‘역동적인 미래성장’의 핵심과제로 설정한 ‘금융산업 미래 경쟁력 확보’ 항목에 “기후리스크에 대응한 녹색금융 등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라는 대목이 있다.
세부 항목에는 “ESG금융 감독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금융회사 기후리스크 관리, 그린워싱 방지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관리에 확대 적용하기 위한 녹색여신 관리지침 제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녹색분류체계란 어떤 경제활동이 친환경적인지를 규정한 국가 차원의 기준으로, 보통 '녹색투자' 대상을 선별하는 기준이 된다.
금감원의 ‘녹색여신 관리지침’ 제정은 녹색채권, 녹색펀드 등을 넘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분야까지 확대 적용해 녹색금융의 폭을 넓히기 위한 단계적 계획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금감원은 2022년 12월 10개 금융사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용 시스템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금감원이 ‘녹색여신 관리지침’을 제시하면 금융사도 여신부문에서 ‘친환경’이라는 기준을 적용한다. ㅣ업 부문 여신이 주로 영향을 받게 된다.
쉽게 말하면 친환경적이지 않은 기업은 금융권의 대출이나 투자를 받기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의미다.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판단기준을 충족하는 시설이나 운영에 제공된 여신 규모가 금융기관의 녹색여신 성과로 평가될 수도 있다.
벌써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사례도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지난해 9월부터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에 적용하고, 이를 전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한 자체 전산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반영한 ‘ESG 금융 심사 시스템’ 구축으로 녹색금융에 대한 내부 관리 기준이 보다 명확해졌다"며, "고도화된 ESG 금융 시스템을 기반으로 녹색경제활동에 대한 체계적 금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이 녹색여신 관리지침을 핵심과제 중 하나로 제시함에 따라 녹색금융 시스템을 확대하기 위한 행보는 올 한 해 지속될 전망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해 녹색금융 관련 국제컨퍼런스에서 “녹색금융은 위기 대응을 위한 필수적 수단”이라며 “금융권은 온실가스를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자금, 즉 녹색금융을 공급해 기후위기 대응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창현 기자 financial@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