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정민 의원 "중기부서 촘촘한 ESG 종합지원체계 구축해야"
- 전경련, 지난해 1분기 이후 중소기업 ESG 관심도 급증
국내 중소기업의 50% 이상이 자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수준이 미흡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기업의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종합지원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것.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정민 의원(경기 고양병)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만 4000여 곳의 중소기업이 자사의 ESG 수준을 자가 진단한 결과, 절반 이상의 기업이 E(환경)·G(지배구조) 부문에 있어 미흡 등급인 4~5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올해부터 운영하는 '중소기업 ESG 자가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진단한 결과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올해부터 '중소기업 ESG 자가진단 시스템' 운영 조사
기업들이 ESG 각 부문별 설문에 응답하면, 우수등급인 1등급에서 미흡등급인 5등급 사이의 점수를 받는 방식이다. 지난 8월 말 기준 1만 4228곳의 업체가 자가진단에 참여했다. ESG 등급을 수치화한 통계는 이번이 처음이다.
자가진단 참여 중소기업을 업종별로 분류하면, 제조업이 1만 76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도소매업 1490곳, 서비스업 1370곳, 정보처리업 1088곳, 건설업 139곳, 물류업 65곳 순이었다.
홍정민 의원실이 이들 기업의 ESG 각 부문에 대한 중위값을 분석한 결과, 환경(E)·지배구조(G) 부문의 중위값은 4등급으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사회(S)부문의 중위값은 2등급을 기록했다.
환경(E) 부문의 경우, 전체 1만 4228곳 중 65.5%에 해당하는 9324곳이 미흡 수준인 4~5등급에 머물렀다. 지배구조(G) 부문EH 56.6%(8052곳)가 4~5등급을 차지했다.
환경부문은 경영방침이나 사업보고서에 환경경영 목표와 계획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사회부문은 기업이 정규직 채용인원, 평균 근속연수, 복리후생비 등을 관리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다수였다.
지배구조는 경영방침에 윤리경영 정책이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홍정민 의원은 지난 6일 열린 중소벤처기업부 국정감사에서 “많은 대기업 협력업체들이 거래처로부터 ESG 평가 인증을 요구받는다”며 “ESG 경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자가진단으로 수준을 파악한 업체들은 결과를 받아보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중기부가 구색만 갖춰놓고 손 떼고 있을 것이 아니라 전문가 컨설팅 등 촘촘한 ESG 종합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 벤처기업부 장관은 “내년에는 구체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 6일 발표한 'ESG 키워드 트렌드 변화 분석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뉴스 키워드상 ESG 최대 관심 이슈는 친환경, 탄소중립, 보고서, (평가) 등급, 중소기업 순으로 나타났다.
ESG에 대한 뉴스 건수는 2020년 4분기 2499건에서 지난해 2분기 8391건으로 2분기 사이 236% 증가했다. 이어 2021년 4분기 8701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3분기 7617건으로 다소 감소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ESG 관심도는 높아지고 있다. 중소기업 관련 ESG 기사 건수는 2021년 1분기 420건에서, 그해 2분기 618건으로 늘었다. 올해 3분기에는 763건으로 올랐다.
전경련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활발해진 ESG 경영이 중소·중견기업으로 확산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논의가 활발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