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술로 달 탐사가 이루어질 것인가? 정부가 한국형 발사체 개발, 달 탐사 등을 포함해 200대 중점 우주기술 개발 로드맵을 확정지었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22일(수)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정부는 또 한국형발사체 개발(2,200억원), 달 궤도선 상세설계 착수 등 달 탐사 본격추진(710억원) 및 인공위성 독자개발(2,184억원) 등 총 6,703억원 규모의 '2017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이같은 예산 규모는 지난해 7278억원보다는 소폭 줄었고 2015년 6248억원보다는 10%가까이 는 것이다.
이와함께 '2017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 '2017년도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 '2017년도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시행계획'도 의결했다.
미래부 홍남기 제1차관은 “우주기술 개발 로드맵 수립은 주요 우주 선진국에 비해서는 늦었지만, 우주 분야 핵심 기술력 확보의 기틀을 마련했다는데 의의”라며 “향후에도 우주개발에 대한 장기적 비전 및 도전정신과 함께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0대 우주개발 기술은?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14〜’40)'(이하 ‘중장기 계획’)에 제시된 2040년까지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데 필요한 중점기술을 도출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다.
먼저, 중장기 계획에 제시된 2030년까지*의 임무 달성에 필요한 수요기술 754개를 도출했고 이 중에서 시급성, 경제성,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200대 중점기술을 선정했다.
각 중점기술에 대해서는 기술 성숙도가 높은 기술은 위성사업, 발사체 사업 등 체계사업을 통해 바로 확보하고, 기술성숙도가 낮은 기술은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출연연 주요사업 등을 통해 기술성숙도를 향상시킨 후 체계사업에 적용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2017년 우주개발 분야에 총 6,703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2016년과 비교하여 575억원이 감소한 규모다. 대부분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과 우주센터 2단계 사업의 감소분이다. 하지만 2015년보다 증가된 규모로 우주개발 분야 예산 투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독자 우주개발 추진을 위한 자력발사능력 확보를 위해 한국형발사체개발을 지속 추진(2,200억원)하고, 2016년에 신규 착수한 달 탐사도 달 궤도선 상세설계 착수, 미국 NASA와의 협력 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710억원)한다.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개발(2,184억원)을 위해 다목적실용위성 6호 및 7호, 차세대중형위성 1호, 정지궤도복합위성 2A/2B호를 지속 개발하고, 올해 말에는 우주핵심기술 검증 및 우주과학 임무를 위한 차세대소형위성 1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한익재 기자 gogree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