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적금 금리와 보험사 공시이율 차이 확대 시 저축보험 해지도 지속
- 저수수료 저축보험 설계, 노후자산으로의 연금상품 연계 전략 등 대응방안 마련해야
시중 은행 예·적금 금리가 가파르게 뛰면서 저축보험 가입자들의 이탈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상 금융상품 간 수익률 격차에 의한 소비자의 머니무브(money move) 현상은 시장원리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으로 여겨지기에 보험사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생명보험사 한 관계자는 "저축보험은 중도 해지시 수익성이 낮아질 수 있어 해지 가능성은 떨어지지만 은행 예·적금 금리와 보험사 공시이율 간 차이가 커지면 해지율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며 "저축보험을 해지하고 은행권을 비롯한 다른 고금리 상품으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급증한다면 보험회사 건전성도 악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9일 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의 '저축보험 해지 관심도 증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시중금리 상승과 함께 은행 예·적금 금리가 크게 상승하면서 보험회사의 저축보험 해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단기금리 상승과 보험회사의 자산 증가 정체가 지속되면 예·적금 금리와 보험회사 공시이율의 차이는 추가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이 경우 저축보험 해지는 계속 늘어날 수 있어 보험회사는 저축보험 소비자의 계약유지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국내 대형 포털 네이버의 '저축보험 해지' 검색량은 9월말부터 10월 중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네이버의 '저축보험 해지'의 주간 검색량은 9월 넷째 주 21.46부터 증가세가 시작돼 10월 셋째 주 72.15로 급격히 증가한 후 10월 넷째 주에는 100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제공하는 검색량이 최대인 시점을 100으로 환산한 상대적 검색량 정보다.
이같은 저축보험의 해지에 대한 관심 증가는 보험회사 저축보험의 대체재라고 할 수 있는 은행 예·적금상품의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회사 저축보험은 주로 방카슈랑스 채널을 통해 판매되기에 예·적금 상품과 비교가 용이하다. 따라서 지난 9월말에서 10월에 은행 예·적금 금리가 보험회사 공시기준 이율을 상회하기 시작하면서 저축보험 해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는 풀이다.
주로 장기채권으로 자산을 운용하는 보험회사 공시기준이율은 장기금리 수준에 민감하고 은행 예·적금 금리의 경우 단기금리에 민감한 경향을 보이는데 국고채 10년물과 3년물 금리는 지난 9월 역전되면서 단기금리가 장기금리 보다 높은 상황이다.
한편 한국은행은 지난 7월 이후에만 기준금리를 4차례(7월13일, 8월25일, 10월12일, 11월24일) 인상하면서 1.75%였던 기준금리가 3.25%로 급상승했다.
특히 보험사들의 고민은 저축보험 가입금액이 상대적으로 큰 40~50대 이상 연령대의 '저축보험 해지' 관심 증가가 두드러졌다는 점이다. 40~50대 이상 연령대의 경우 자산 규모가 20~3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안정을 추구하는 경향이 커서 자금이동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지만 이들이 이탈할 경우 보험회사의 자산 감소에 상당기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 높아서다.
아울러 한국은행은 기준금리의 추가적인 인상을 예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보험회사는 수입보험료 감소와 해지 증가로 자산규모가 정체되면서 고금리 채권에 대한 신규 편입도 제한적인 상황에 빠질 수 있다.
김 연구위원은 "보험회사의 저축보험 계약 이탈이 지속될 경우 대규모 채권매각에 따라 채권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보험사들은 낮은 수수료의 저축보험 설계 및 저축보험을 노후자산으로 전환하기 위한 연금상품 연계 전략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윤덕제 기자 financial@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