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의 공포가 온다②] "인플레이션 일시적" vs "초인플레 전조"…전문가들 "당분간 보수적 접근 필요"
상태바
[i의 공포가 온다②] "인플레이션 일시적" vs "초인플레 전조"…전문가들 "당분간 보수적 접근 필요"
  • 노우진 기자
  • 승인 2021.05.13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증권시장 휩쓸 인플레이션 파도 온다…금리 인상 가능성 상승
- “인플레이션, 일시적이다”…전문가들 조언에도 투자자 불안 높아져
- 일각에서는 장기화된 초인플레이션 올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와…전문가들, "당분간 보수적인 접근 필요해"

인플레이션 공포가 국내외 증권시장을 짓누르기 시작했다. 

뉴욕 증시는 약 7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12일(현지시간) 각각 1.99%(681.50), 2.14%(89.06) 하락한 33587.66과 4063.04를 기록하며 거래를 마쳤다.

국내 증시 역시 인플레이션 공포에 휩싸여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코스피·코스닥은 13일 오후 1시 30분 전일대비 0.74%(23.32) 하락한 3138.34와 0.96%(9.25) 떨어진 957.85를 기록하고 있다.

[사진=Unsplash]
[사진=Unsplash]

증권시장을 덮치기 시작한 'i의 공포’


글로벌 물가가 예상보다 더 가파르게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뉴욕 증시에선 대부분의 종목이 하락 곡선을 그렸고 주요 지수는 7개월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록우드 어드바이저의 최고 투자책임자인 맷 포스터는 “예상을 넘어서는 인플레이션이 시장 전반에 걸쳐 모든 종목의 주가를 짓누르고 있다”며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향후 행보에 대한 불확실성 역시 높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블랙스완 헤지펀드의 고문인 나심 니콜라스 탈렙은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결국 급격한 물가상승을 낳을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예상치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플레이션은 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안나 스투프니츠카 피델리티 인터내셔널 분석가는 “인플레이션이 가속도를 붙이기 시작하면 중앙은행들은 긴축 정책을 시행할 수밖에 없다”며 “미국 경제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는 있지만 성장률이 최고치를 넘었다는 징후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가 "인플레이션 일시적"이라고 말하지만…투자자들, 불안감 높아져


증권가에서는 잇달아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지만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가라앉히기에는 역부족이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국 증권시장은 경제지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단기적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나 다소 과도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조 역시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박성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연준은 물가지수 급등을 일시적 현상으로 해석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가격상승을 통화정책으로 대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역사적으로도 공급망 요인에 따른 제조업 부문 가격 상승이 장기화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i의 공포 현실화 가능성 있다…"1970년대 초인플레와 차이 없다"는 해석 나와


일각에서는 현재의 상황이 초인플레이션의 전조 현상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과거의 금융위기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달리 실물부문에서 촉발된 현상이기 때문이다. 초인플레이션이란 통상 1개월에 50%를 초과하는 극단적 물가 상승 현상을 뜻한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미국 내에서도 과거 사례에 비해 조 바이든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과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며 “이 경우 정부가 산정한 수치를 상회하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래리 서머스 전 재무부 장관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그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경제학자들과 전문가들은 초인플레이션이 없을 것이라 말했지만 나는 다르게 생각한다”며 “초인플레이션이 일어났던 1970년대와 지금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서머스 전 장관의 주장에서 예시로 든 것은 1960년대 후반의 갑작스럽고 변덕스러운 인플레이션이다. 1966년 몇 달동안 물가 상승률은 약 1%였지만 1969년 일부 기간에는 6%까지 치솟은 적 있다.

서머스 전 장관은 “인플레이션이 예상 이상으로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은 명백히 잘못됐다”고 단언했다. 이어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은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최근의 경기부양책과 저축 과잉이 심각하고 FRB의 기조가 당분간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그것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식시장은 유동성 모멘텀에 의해 상승했다”며 “유동성 모멘텀의 약화는 분명 주식시장에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준은 또다시 시장 달래기에 나설 것으로 보이지만 시장이 쉽게 안정을 찾을지는 미지수”라며 “당분간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런 가운데 당분간 미래가치 중심의 성장주와 기술주에 충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주의 경우 금리에 민감하기 때문에 영향권 안에 있다. 실제 뉴욕 증시에서는 기술주 위주인 나스닥이 다른 주요 지수에 비해 큰 낙폭을 보이고 있다.

만약 초인플레이션이 도래해 연준이 금리를 큰 폭으로 끌어올린 후 점차적으로 내리며 조정한다면 투자자들이 채권 투자로 이동할 수 있다. 미래의 성장 가능성에 힘입어 주가를 끌어올리는 성장주·기술주는 급락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미 인플레이션 공포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은 국내외에서 드러나고 있다. 인플레이션 공포가 더욱 확산되고 장기화되면 주식시장 역시 ‘암흑기’를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노우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