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오 칼럼] 기후변화 ‘푸시맨’
상태바
[정종오 칼럼] 기후변화 ‘푸시맨’
  • 정종오 기자
  • 승인 2019.10.29 15: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후변화 대책 서두르지 않으면 지구 전체 비극 불러와

○…“띠리릭~띠리릭~!”

그 소리는 공포였다. 1990년대 서울 신도림역. 플랫폼에 땅은 보이지 않고 사람 머리만 보이던 시절이었다. 새까맸다. 아침 출근길은 ‘띠리릭~’이라는 공포 음과 시작됐다. 지하철 도착함을 알리는 이 소리는 반가워야 하는데 왜 공포였을까. 지하철이 도착하면 승객보다 먼저 이른바 ‘푸시맨(Push Man)’이 바삐 움직였다.

푸시맨!

이 단어는 우리나라 지하철 역사를 알려주는 대명사 중 하나이다. 신도림역은 1호선과 2호선이 겹치는 환승역이다. 출퇴근길은 발 디딜 틈 없이 사람들로 가득 찼다. 지하철이 도착하면 내리는 승객과 함께 탑승하려는 승객들은 공간을 파고들어야 했다. 이미 지하철 공간은 입추의 여지 없는 공간. 이때 푸시맨이 우악스럽게(?) 나선다. 지하철에 올라타려는 승객들을 뒤에서 힘껏 민다. ‘밀어~밀어!’라는 구호와 함께.

인정사정없었다. 승객은 짐짝처럼 푸시맨의 떠밀림에 내 의지와 전혀 상관없이 안으로, 안으로 쑤셔 넣어졌다. 입추의 여지 없던 지하철에 ‘입추의 공간’이 생기는 기적(?)을 경험하는 순간이었다. 수없이 많은 이들이 떠밀려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이런 ‘푸시맨’을 어떤 곳에서는 ‘탑승 도우미’라고 표현하는데 과연 도우미였을까?

○…“아빠, 저곳에 풀밭이 있어요”

29일 우리나라 기초과학연구원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에 전 세계적 관심이 집중됐다. 현생인류(인류의 조상)의 발상지는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이었고 이들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된 것은 기후변화 때문이었다는 논문이었다. 20만 년 전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처음으로 칼라하리 사막에 정착했다. 이후 13만 년 전 기후변화가 발생했다. 지구 자전축이 변하면서 칼라하리 북동쪽으로 녹지가 확대됐다.

정종오 환경과학부장
정종오 환경과학부장

녹지 축이 확대되면서 인류는 녹지를 따라 이동을 시작했다는 연구결과였다. 이는 현생인류가 이동을 왜 시작했는지에 대한 객관적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큰 관심을 모았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도 주요 논문으로 소개했다. 지금은 6대륙에 인류가 살고 있다. 왜, 어떻게, 무엇 때문에 이동을 시작했는지 알게 된 것이다.

그동안 현생인류 이동에 대한 가설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발상지 환경이 척박해져 다른 곳으로 떠밀려 갈 수밖에 없었다는 ‘기후변화 푸시’ 가설이다. 두 번째는 발상지 자체가 살 수 없게 된 게 아니라 녹지가 확대되면서 스스로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는 ‘기후변화 풀(Pull)’ 가설이었다. 13만 년 전에 현생인류가 칼라하리 사막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한 것은 ‘기후변화 풀’ 가설을 입증하고 있다. 원해서, 녹지가 유혹해 이동한 셈이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기후변화에 인류가 적응했다고 볼 수 있다.

○…“엄마, 우리 이제 고향을 떠나야 해요?”

21세기 들어 가장 큰 화두는 ‘기후변화’이다. 21세기 기후변화는 13만 년 전 현생인류를 이동하게 만든 기후변화와 성격이 다르다. 당시는 자연적 변화로 일어난 기후변화였다. 13만 년이 흐름 지금, 현대 인류에 불어닥친 기후변화는 ‘인위적 이유’ 때문이다. 땅을 파고, 숲을 없애고, 화석연료를 캐내 에너지로 쓰고, 대량생산으로 쓰레기가 급증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는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구 평균온도는 상승하고, 해수면은 높아지고, 이산화탄소농도는 계속 증가하고, 빙하는 줄어들고. 각국도 비상 상황임을 인식한 것 같다. 190개가 넘는 나라가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지구 온난화(몇몇 외국 매체에서는 ‘지구 온난화’ 대신 ‘지구 가열화’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주범인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겠다고 합의했다. 4년이 지난 지금,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고 지구 평균온도 상승은 멈췄을까. 전혀 그렇지 않다. 파리기후변화협약이 ‘공염불’에 지나지 않음을 오히려 입증하고 있다. 이산화탄소농도는 갈수록 더 짙어지고 있다. 해수면 상승도 이어지고 있다.

더 이해할 수 없는 것은 기후변화에 대한 미국 정부의 태도이다. 그동안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데이터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주도해 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NASA와 NOAA 입지는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관련 예산도 삭감됐다. 도널드 트럼프는 취임하자마자 “기후변화는 사기”라고 천명했다. 객관적 과학 데이터를 모아왔던 NASA와 NOAA의 수십 년 데이터를 깡그리 무시해버렸다.

21세기 기후변화에도 ‘푸시맨’이 있다. 1990년대 우리나라 지하철 문화를 공포스럽게 기억하는 것과 비슷하다. 2017년 남태평양 섬나라 투발루를 취재한 적이 있다. 투발루는 전체 국민이 1만2000여 명 정도 사는 소박하고 아름다운 섬나라이다. 투발루는 해발고도가 2~5m에 불과하다. 해수면과 비슷하다.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투발루는 점점 바닷물에 잠기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대로 해수면이 높아지면 2050년 투발루 나라 전체가 잠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투발루 몇몇 국민은 근처에 있는 뉴질랜드와 피지로 이미 이주했다. 내 의지와 관계없이 ‘기후변화 푸시맨’에 의해 떠밀리다시피 고향 땅을 버릴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다. 더 비참한 것은 투발루는 지구 온난화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책임이 0.01%에도 미치지 않는다. 그동안 미국과 유럽이 산업화 등으로 온실가스 책임이 가장 큰데 정작 고향 땅을 버려야 하는 곳은 아무 책임도 없는 투발루가 된 것이다. 미국과 유럽의 ‘기후변화 푸시맨’이 힘도 없고 경제력도 없는 가난한 나라를 떠밀고 있다.

이를 두고 많은 전문가는 ‘기후변화에도 유전무죄, 무전유죄가 성립된다’고 이야기한다. 13만 년 전 인류는 기후변화 때문에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21세기 현대 인류도 기후변화 때문에 이동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이동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다르다. 13만 년 전에는 ‘기후변화 풀’ 때문이었는데 지금은 ‘기후변화 푸시’라는 차이가 있다. 이는 비극이다.

정종오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