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안의 심각성 고려 ‘최대한 신속하게’ 딥시크 측에 답변 요청한 상태
사실관계 우선 확인 후, 이상 있다면 조치 취할듯
美日 등 다른나라처럼 사용금지 권고 등 지침은 없는 것으로 파악
[녹색경제신문 = 박성진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문제와 관련하여 딥시크측에 최대한 빠른 사실관계 확인 및 회신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날 녹색경제신문의 취재에 따르면, 개인정보보호위는 딥시크 측에 이달내로 답변회신을 요청한 것으로 언론에 알려졌지만, 사안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긴급한 개인정보보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이달이 아닌 최대한 빠르게 답변을 요청, 공식질의 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식 질의에는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보관 방법 및 정보를 활용해 AI 학습 과정을 파악하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녹색경제에 “우선, 딥시크 측에서 어떤 개인 항목을 수집하고, 그런 정보를 정확히 어떻게 다루는지 등 전반적인 사실 관계 확인이 우선이다. 딥시크측에서 회신 올 내용을 바탕으로 사실 관계를 확정한 다음에, 실태조사나 점검과 같이 이후 단계에 대해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다. 지금 당장 조사 착수 등 실질 조치에 대해서 말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개인정보 유출 등 우려하여 다른 나라처럼 사용 자제 권고는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파악
한편, 딥시크를 통한 개인정보나 국가기밀 유출을 우려하여 많은 국가에서 딥시크 이용을 자제하거나 금지하는 움직임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우선, 일본과 대만, 이탈리아에서는 공무원 차원에서 사용이 금지됐다. 일본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은 “딥시크가 개인정보 보호를 잘하는지 우려 된다.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야한다”고 말했다.
대만 디지털부도 공공부문 직원들 대상으로 딥시크 이용을 금지했고, 이탈리아와 아일랜드 개인정보 보호위원회는 딥시크에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정보를 공식 질의했다고 밝혔다. 이후, 이탈리아에선 딥시크 다운로드가 금지된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은 이미 지난달 말 해군과 미 우주항공국(NASA)에서 국가 기밀과 개인정보 유출 의심을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또한, 텍사스주는 애벗 주지사가 주정부가 지급한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한편, 한국의 경우 이와 관련하여 정부의 대응이 늦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이에 개인정보보호위 관계자는 “우선, 개인정보보호위 차원에서 딥시크를 쓰라 쓰지말라에 대한 권고는 없다. 개인정보보호위가 다른 기관에 사용과 관련하여 강제적으로 명령을 내릴 권한도 없다. 공식질의한대로, 딥시크 측으로부터 사실관계 확인이 우선이다.”고 밝혔다.
박성진 기자 pol@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