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AI 비서 빅스비, 스마트폰과 가전 연결 향후 AI생태계 연결 역할할듯
지난달 23일 공개된 삼성전자의 신작 갤럭시S25 시리즈와 함께 공개된 AI 신기능에서는 구글 제미나이의 비중이 늘어났다. 기기 측면의 AI 버튼을 누르면 제미나이가 바로 호출되는 기능만 봐도 제미나이의 커진 존재감이 단번에 느껴진다. 이에 따라 현재는 무료인 제미나이의 향후 유료화 여부와 제미나이의 급부상과 함께 반대급부로 기존의 삼성 AI비서 ‘빅스비’ 역할에 대한 의문점을 가지는 시선도 생겨나고 있다.
삼성전자에서 이번에 갤럭시S25 시리즈를 공개하며 강조한 AI기능 상당수는 ‘제미나이 어드밴스드’ 기능인데 이 기능은 6개월 동안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 이후부터는 구독료를 지불해야 이용이 가능하다. 현재 제미나이의 유료버전인 제미나이 어드밴스드(advanced)의 경우 프로모션으로 첫달 무료 이후 월 29,000원의 구독료를 지불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삼성 자체 AI인 ‘갤럭시AI’ 역시도 2025년까지 무료로 제공된다. 이후에는 유료 이용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는 빅스비는 AI 가전과 연계하며, 빅스비·제미나이를 모두 고도화해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빅스비, 제미나이 두가지 다 AI 기능을 하다보니 이같은 구조가 혼란스럽다는 소비자 반응도 있다. 그간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을 이용해왔던 고객이라면 빅스비가 더 직관적이고 일상에서 쓰기 편하다는 반응도 다수다. 그렇기 때문에 제미나이의 등장으로 ‘밀린’ 모양새가 된 빅스비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반응도 찾아볼 수 있었다.
다만 이같은 우려와 정반대로 삼성전자가 언급한 것처럼 빅스비는 버려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에 갤럭시S25 시리즈 공개와 함께 빅스비의 경우 삼성전자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가우스와 구글 제미나이가 탑재돼 복잡한 명령 수행이 가능해졌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단순히 스마트폰 사업부만 꾸리는 회사가 아니라는 점 역시 유념할 필요가 있다. 향후 빅스비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이외에도 AI 가전과 연결해 스마트 홈을 비롯한 AI생태계를 구성하는데 중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녹색경제신문 = 조아라 기자]
조아라 기자 lycaon@greened.kr